“잘 오셨습니다! 우리는 거의 언제나 우리말만 쓰지요. 숲 깊은 곳에 살기 때문에 외부인들과는 거의 접촉하는 일이 없거든요. 북부의 요정들과도 거의 연락이 끊긴 상태랍니다. 하지만 우리 중 일부는 바깥으로 나가서 새 소식을 듣거나 적의 움직임을 감시하기도 하기 때문에 외부의 언어를 좀 알지요. 나도 그 중 하납니다. 난 할디르라고 합니다. 여기 있는 내 동생 루밀과 오로핀은 당신들 말을 거의 모릅니다. (......)”

씨앗판『반지의 제왕』제2권 반지원정대(하) 200~201쪽


  반지의 제왕에서 로스로리엔의 요정 할디르가 반지원정대에 건네는 인사말이다. 여기서 할디르가 사용하는 말은 소위 ‘공용어’이고, 할디르가 ‘우리말’이라고 하는 것은 요정들의 말인 ‘신다린’이다. 할디르는 아마 ‘퀘냐’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게 뭐냐고? 또다른 요정어이다. 바다 건너 요정들의 땅에 살 때 요정들의 말은 원래 퀘냐였다. 그곳에서 일군의 요정들이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면서 그들의 말은 원래의 말과 달라지기 시작해 신다린이라고 하는 다른 언어가 되었다. 둘은 친족 관계에 있는 언어이지만 다른 언어이다.

반지의 제왕 세트 (전7권)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J. R. R.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 2007년)
상세보기

  인간들의 말도 다르다. 위대한 제국을 건설했던 누메노르인들의 말인 아두나이어가 전 대륙에 걸쳐 공용어로 쓰이고 있지만, 말들의 나라 로한에서는 그들 조상의 말이 쓰인다. 그리고 드루아단 삼림지나 던랜드에 사는 인간들 역시 다른 말을 사용한다. 그리고 난쟁이, 엔트, 오르크들도 자신만의 언어가 있었다.

  반지의 제왕의 언어적 풍부함은 단지 종족의 차이나 공간의 차이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차이로도 드러난다.

“L (......) 무성음일 경우(보통 첫 글자 sl-에서 파생된 경우)에는 LH로 이 음가를 표시한다. 퀘냐의 고어에서 이 음의 철자는 hl이었지만, 제3시대에 보통 l로 발음했다.”

“TY (......) 이 철자는 주로 c 또는 t + y에서 파생된 것이다. 서부어에서 빈번하게 찾아 볼 수 있던 이 음가가 영어의 ch 음가로 대체되었다.”

“엘다르 언어의 초기 단계에서 특히 선호된 ng, nd, mb 같은 자음의 조합은 신다르어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당대의 언어 가운데 유독 신다린만이 프랑스어 lune(륀)의 u와 다소 비슷하게 ‘움라우트 현상으로 변이된’ 전설음 u를 갖고 있었다. 그것은 일부는 o와 u가 음운 변화를 일으킨 것이었으며, 부분적으로는 예전의 이중모음 eu, iu에서 파생된 것이었다.”

  『반지의 제왕부록 E에서 언어 변화와 관련해 눈에 띄는 부분들만 발췌한 것이다. 톨킨은 이 정도로 정교하고 살아있는 언어를 만들어냈다. 소설 하나를 위해 거의 완벽한 새 언어를 만들어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실 톨킨은 언어를 위해 소설을 썼다. 그는 새로운 언어, 특히 엘다르어(요정어)를 만드는 데 평생을 바쳤다. 그리고 언어는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언어를 위해 역사를,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보통의 판타지 소설가라면 언어 문제를 회피하거나 단순화할 것이다.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에선 국가마다 언어가 다르긴 하지만 방언은 없다. 방언이 뭔지도 모르는 후치 네드발에게 칼 헬턴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바로 그걸 말하고 싶었다네. 마법사들은 엄청나게 떨어진 거리에서도 얼마든지 말을 주고받을 수 있다네. 성직자들도 마찬가지고. 그리고 마법사들이나 성직자들은 대개 학문적으로나 뭐로나 문화를 이끌어나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지. 그래서 우리 나라엔 방언이 없다네. 하지만 마법이 발달되기 전에는 그런 방언 같은 것이 있었다고 하네. 루트에리노 대왕의 전기만 읽어보아도 그런 방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지."

                                 『드래곤 라자』제8장 인간의 무기 중

드래곤 라자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이영도 (황금가지, 1998년)
상세보기

   통신 수단의 발달이 지역 간 언어의 차이를 없앤다는 건 타당성이 있는 주장이지만 그것만으로 방언이 쉽게 없어지진 않는다. <드래곤 라자>의 세계보다 훨씬 통신이 발달한 현대에도 방언은 없어지지 않았다. 언어 문제를 회피하려고 한 작가의 장치가 아니었나 싶다.

  후기작인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 이영도가 언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좀 더 정교해진다. 인간들이 사는 북부에서 나가들이 사는 남부까지 하나의 언어가 통용되는 현실에는 신학적인 설명이 동원된다. 그리고 고대어가 등장하고 실제로 그 고대어로 말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즉 시공간축에서의 언어 변화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소설 속에서 설명하고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눈물을 마시는 새 세트(전4권)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이영도 (황금가지, 2003년)
상세보기

  앤 맥카프리의 <퍼언 연대기>에선 언어 문제가 간단히 무시된다. 우선 방언은 존재하지 않는데 인간들이 사는 ‘퍼언’이 그리 넓지 않은 지역이라는 점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400년 전의 사람들을 시공간 이동을 통해 불러오는데 그들과 아무런 불편 없이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건 좀 무리한 설정이 아닌가싶다. 4세기 전의 모국어란 친족 관계에 있는 외국어와 다름없다. 우린 100년 전의 기록을 읽을 때도 꽤 불편을 겪지 않는가?

퍼언 연대기 세트 (전3권)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앤 맥카프리 (북스피어, 2007년)
상세보기

  판타지 소설에서 <반지의 제왕>이나 실제 현실만큼의 언어적 정교성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뿐더러 불필요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소설이 사실성-판타지나 SF에서도 사실성은 중요하다. 그것은 현실과 똑같다는 의미에서의 사실성이 아니라 얼마나 타당하고 그럴듯한가라는 의미의 사실성이다.-을 획득하기 위해선 언어의 차이나 변화에 대해 무시해선 안 될 것이다.

  문제는 우리가 실제 세계의 언어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고 있지 못 하다는 것이다. 각 언어 간, 각 방언 간에는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가? 촘스키의 주장처럼 모든 언어에 공통되는 보편 문법이란 게 있는 것일까? 언어 변화는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는 것일까? 방언은 얼마나 세월이 지나야 다른 언어가 되는가?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하기 시작한 근대 들어서 언어 변화의 속도는 더 빨라진 걸까?

 
상상 속 세계라는 렌즈로 실제 세계를 들여다보며 이런 질문들을 던져본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8. 18. 19:5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