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정치적 또는 문화적 성향이란 건 결국 성격에 의해 형성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성적인 판단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말이다. 실제로 미국에선 그런 연구도 있었던 걸로 알고 있다. 공화당 지지자냐 민주당 지지자냐 하는 건 성격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성격을 측정하는 도구 중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이 Big 5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MBTI 등이 더 잘 알려져 있어 심리학 전공자들만 아는 도구이긴 하지만 학계에선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다. 다섯 가지 특질의 정도로 성격을 측정하는 것인데 그 다섯 가지를 줄여서 OCEAN이라고 한다.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의 앞글자를 딴 것인데, 각각의 뜻은 개방성, 꼼꼼함, 외향성, 동조성, 신경증 정도 되겠다. 이 다섯 특질에 대해 측정해 절대 점수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전체 집단 중 몇 %에 속하는지, 즉 백분위로 나타낸다. N 점수가 상위 10%라면 감정이 매우 불안한 사람이라는 거다. 반대로 하위 10%라면 매우 안정적인 사람이라고 하겠다.


Big 5에서 내게 가장 두드러졌던 특질은 Agreeableness였다. 2004년이니까 상당히 오래 전이긴 하지만 당시 A가 하위 3%를 찍었다. 즉 지극히 Diagreeble 하다는 것이다. 이 정도면 남의 의견에 동조하지 않는 정도를 넘어서 반대까지 할 것 같다. 내 정치적 성향은 이 낮은 A에 근거하는 게 아닐까 싶다. 즉 주류의 의견에 반대하면서 반보수적인 성향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왜 보수적이 되는 걸까? 그건 아마도 세상이 아닌 주위 의견의 주류가 별로 보수적이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즉 주위의 의견에 반대하면서 또 역으로 가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노무현 생전에 노무현에 대해 극도로 비판적이었는데 아버지가 노빠였던 것도 한 원인이었다.

근데 이렇게 생각해보니 젋었을 때 운동권에 몸담았다가 지금은 뉴라이트에 가있는 사람들이 좀 이해가 간다. 그들도 A가 극도로 낮은 사람들이 아닐까? 그래서 사회에 반발해서 운동권에 몸담았다가, 다시 운동권에 반발해서 뉴라이트가 돼버린 것이다. 그리고 내 기억이 맞다면 나이가 들수록 A가 조금씩 올라가는데, 이제는 A가 어느 정도 높아져서 다시 현재 자기가 소속된 곳의 의견에 반발하지 않게 된 것이다. 헉. 그렇다면 나도 보수우익이 될 수 있다는 건가? 그럴 리는 없겠지만 주의해서 나쁠 건 없지. 무슨 일에서건 균형잡힌 시각이 중요한 것 같다. 책도 너무 치우치게 읽지 말고 말이다. 중용, 중용.

난 문화적으로는 그닥 진보적이거나 개방적이지 않은데 중간쯤인 O에 기인하는 게 아닐까싶다. O가 높은 사람들이 새로운 예술이나 문화를 잘 받아들인다. 예전에 학생 복장에 대해 썼듯이 난 의복에 대해 보수적이고 포스트모던 예술을 싫어한다. 근데 굳이 싫어할 것까진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최근에 들었다.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서 싫어할 필요는 없다. 그냥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되지 않을까? 불과 얼마 전에 쓴 글이긴 하지만 패션에 대해서도 좀 생각이 바뀌었다. 올림픽 선수들의 자유로운 패션이 꽤 멋져 보였던 게 한 원인이다. 흠, 난 스포츠를 넘 좋아해서 말이지. ^^

하지만 정치적인 관점을 떠나 스포츠에 대한 진보의 주장은 감정적으로 동조하기가 너무 힘들다. 예로 들어 강준만은(아, 이 사람은 진보라고 하긴 좀 그렇지만.) 80년대에 관해 쓴 그의 책에서 전두환이 국민을 우민화하기 위해 만든 거라며 프로야구를 끊임없이 비판했다. 설사 탄생이 그렇다 하더라도 프로야구가 주는 즐거움은 평가할 가치가 있지 않을까? 스포츠와 관련된 비판적 담론에서 종종 느끼는 건 그 사람들이 조금 더 스포츠 팬이 아닌 것 같다는 것이다. 스포츠 팬이라면 비판하는 와중에도 애정이 은근 드러날 텐데 그런 게 없다. 나의 순수한 즐거움을 외면하는 것 같아서 기분이 상한다.

예전에 언론고시 스터디를 하면서 차와 관련해서도 비슷한 얘기가 나왔던 적이 있는 것 같다. 우리는 자동차 및 자동차 산업에 대해 비판하고 있었다. 사실상 자동차의 범람이 인간의 삶을 더 황폐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점에 대해선 동의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멋진 스포츠카 같은 건 한 번 타보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자 한 친구가 비판했다. 그런 건 자연스런 욕망이 아니며 잘못된 것이라고 말이다. 나는 동의할 수 없었다. 스피드에 대한 욕망이 꼭 자본주의 사회의 왜곡된 욕망에만 근거하는 것일까? 바람을 가르며 빠르게 뛰어내려갈 때의 쾌감 같은 것의 확장 아닐까? 스포츠카를 타고 싶다는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희생되어야 하는 것들의 가치를 고려할 때 그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할 수는 있다. 하지만 그 욕망 자체가 잘못됐다는 것은 다른 얘기 아닌가?

에궁. 무슨 얘기를 하다 여기까지 왔지? 원래는 내 성격을 얘기하려고 했는데 말이지. 다시 한 번 Big 5를 측정해보고 싶다. 이번에는 어떻게 나올까? 그때보다는 A가 높아지겠지?

*추신: 스킨을 또 바꿔봤다. 이전 게 그닥 멋있어 보이지 않아서 말이지.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3. 7. 16:41
| 1 |